본문 바로가기
방구석 상식

[일반 경제 상식]총수요, 총공급, 총수요관리정책 뜻, 이해, 이상적 목표

by SSanSie 2023. 7. 10.

방구석 지식

시장이라는 바다를 항해하는 세 가지 나침반, 총수요, 총공급, 그리고 총수요관리정책. 3가지 요인을 가지고 바다 위를 항해하는 선장이 되어, 시장의 바다에서 우리의 경로를 결정합니다. 오늘, 이 세 가지 요인이 가리키는 방향이 어떠한 의미와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포스팅하겠습니다.


항해하는 배

경제라는 바다의 요인 3가지 – 총수요, 총공급, 총수요관리정책

일상 속에서 느끼는 숨결 같은 경제의 흐름, 그 안에서 우리는 흔히 총수요, 총공급, 그리고 총수요 관리정책이라는 핵심 요소를 만나게 됩니다. 이 세 가지 요소는 경제 항해의 나침반이자 해도, 고요한 바닷속에서 파도를 일으키는 힘입니다. 이 3 요소는 개인, 기업, 국가의 경제적 행동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중요한 도구로 사용되며, 경제의 성장과 안정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총수요(Aggergate Demand) - 바다에 떠 있는 배

총수요는 소비자, 기업, 정부, 외국 구매자들이 특정 가격에서 구매하려는 상품과 서비스의 총량입니다. 총수요를 하나의 배로 비유한다면, 이 배는 우리 경제의 모든 상품과 서비스를 담고 있습니다. 배가 크면, 즉 총수요가 증가하면, 기업의 매출과 생산성이 증가하며 실업률이 감소합니다.

 

그러나 배가 너무 커지면, 파도가 커져 항해가 힘들어집니다. 이는 과도한 총수요가 가격을 끌어올려 인플레이션을 일으키는 것과 유사합니다. 또한 가격이 너무 오르면 사람들의 구매력이 줄어들어 총수요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총수요 유지가 중요합니다.

 

총공급(Aggergate Supply) - 바다의 수심

 

총공급은 경제 내 모든 제조업체들이 특정 가격에서 생산하려는 상품과 서비스의 총량입니다. 이는 가격 상승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있어, 생산성 향상과 경제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총공급을 바다의 수심에 비유하면, 수심이 깊을수록 배는 더 자유롭게 항해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총공급이 많아지면, 경제는 안정되고 새로운 직업이 생깁니다. 그러나, 너무 많은 공급은 팔리지 않는 상품이 생겨 기업의 이익을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총공급량 유지가 중요합니다.

 

총수요 관리정책(Aggregate Demand Management Policy) - 항해의 나침반

총수요 관리정책은 정부가 경제의 수요를 조절하려는 모든 정책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정부는 인플레이션 및 실업률을 조절하고 경제의 안정성과 성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선원들이 나침반을 보고 항로를 선택하는 것처럼, 중앙은행과 정부는 경제를 안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총수요 관리정책을 사용합니다. 금리를 낮추면 사람들이 돈을 쉽게 빌릴 수 있어 더 많이 소비하게 되고, 이는 총수요가 늘어나는 것과 비슷합니다.

하지만, 너무 많이 의존하거나 잘못된 방향으로 나침반을 해석하면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총수요 관리정책도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잘못된 방향으로 조절하면 경제에 불안정성을 초래하고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적절한 총수요 관리가 중요하며, 경제 항해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관계

총수요, 총공급, 총수요 관리 정책 간의 관계

총수요와 총공급의 관계

총수요와 총공급은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요. 총수요는 소비자들이 원하는 물건과 서비스의 총량을 말합니다. 가격이 오르면 사람들은 더 적게 구매하므로, 총수요곡선은 아래로 내려가는 형태를 가집니다. 반면에 총공급은 기업들이 생산하려는 총량을 의미하며, 가격이 올라갈수록 더 많이 생산하려고 하기 때문에 총공급곡선은 위로 올라가는 형태를 가집니다.

 

총 소유와 총수요관리정책의 관계

총수요관리정책은 정부나 중앙은행이 총수요를 조절하는 정책을 말합니다. 경기침체가 발생하면 정부나 중앙은행은 총수요를 증가시키기 위해 재정정책이나 통화정책을 시행합니다. 반대로, 총수요가 높아지면 인플레이션 위험이 생기므로 이를 줄이는 정책을 시행합니다.

 

총공급과 총수요관리정책의 관계

총수요관리정책은 총공급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정부가 기업에게 세제 혜택을 주거나, 중앙은행이 금리를 낮추면 기업들은 더 많이 생산하려는 동기를 가집니다. 이로 인해 총공급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죠.

 

 

3가지 요인에 의해서 발생하는 긍정적 혹은 부정적 효과

총수요

긍정적인 요인 - 총수요가 증가하면, 기업들은 더 많은 제품을 팔 수 있으므로 매출이 늘어납니다. 이로 인해 이익이 증가하고, 새로운 투자가 가능해집니다. 또한, 더 많은 제품을 생산하려면 더 많은 직원을 고용해야 하므로, 실업률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부정적인 요인 - 그러나 총수요가 과도하게 늘어나면, 공급이 수요를 따라잡지 못하여 가격이 상승하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인플레이션입니다. 과도한 인플레이션은 소비자의 구매력을 감소시키고 경제의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총공급

긍정적인 요인: 총공급이 증가하면 가격이 안정되거나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소비자에게 유리하며, 물가 안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기업들이 더 많은 제품을 생산하면 실업률이 줄어들고, 생산능력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

부정적인 요인: 그러나 공급이 과도하게 증가하면, 모든 제품이 팔리지 않아 가격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의 이익을 감소시키고, 장기적으로는 기업의 생존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공급과 수요 사이의 균형이 깨질 경우 경제의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총수요관리정책

긍정적인 요인: 적절한 총수요관리정책을 통해 정부 또는 중앙은행은 경제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실업률을 줄이며, 물가를 안정화시킬 수 있습니다.

부정적인 요인: 그러나 총수요관리정책이 잘못되거나 과도하게 사용되면, 공급과 수요 사이의 균형이 깨져 경제가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정책은 종종 단기적인 효과를 초래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금리를 과도하게 낮추면 실업률이 잠시 감소할 수 있지만, 과도한 인플레이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조화로운 과일

경제 항해의 목표 – 건강한 경제를 유지하는 3가지 요인의 관계

건강한 경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총수요, 총공급, 그리고 총수요관리정책이 일관성 있는 성장, 적절한 인플레이션, 그리고 낮은 실업률과 같은 여러 가지 요인들을 반영해야 합니다.

우선, 총수요와 총공급은 균형을 이루어야 합니다. 총수요는 총공급을 초과하거나 그 반대로 적게 되면 문제가 발생합니다. 총수요가 총공급을 초과하면 인플레이션을 초래할 수 있고, 반대로 총공급이 총수요보다 많으면 실업률 상승과 경기침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건강한 경제를 위해서는 총수요와 총공급이 균형을 이루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총수요관리정책은 경제 상황에 맞게 효과적으로 조절되어야 합니다. 경기침체가 발생하면 정부나 중앙은행은 총수요를 증가시키기 위해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반대로, 인플레이션 위험이 있을 때는 총수요를 줄이는 방향으로 조정합니다. 총수요를 적절히 관리하면 경제는 안정적인 성장과 고용률 향상을 이룰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률도 중요한 지표입니다. 경제가 건강하려면 인플레이션률이 너무 높거나 낮지 않아야 합니다. 보통 중앙은행들은 2% 정도의 인플레이션률을 목표로 삼습니다. 너무 높은 인플레이션은 구매력을 감소시키고 경제의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으며, 디플레이션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낮은 실업률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건강한 경제는 고용 상태가 좋아야 합니다. 고용 상태가 좋으면 소비가 늘어나고 총수요가 증가하며, 이는 경제 성장을 촉진합니다.

요약하면, 건강한 경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총수요, 총공급, 그리고 총수요관리정책이 일관성 있는 성장, 적절한 인플레이션, 낮은 실업률과 같은 여러 가지 요인들을 반영해야 합니다. 이들 요소는 경제 항해에서 상호작용하며 우리의 경제를 이끌어야 합니다. 이를 이해하고 적절히 다루는 것은 성공적인 경제 항해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우리는 안정적인 항해, 즉 건강한 경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일반 경제 상식]희소성 - 뜻, 의미, 이해를 위한 예시, 미래 예측까지

방구석 지식 자원의 한계에서 찾아볼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 혹은 인간의 욕망이 만들어내는 희소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희소성과 경제 자원의 한계와 선택의 문제 경제학의 깊은 숲에는

room-ssansi.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