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구석 지식 - 이전에는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접하게 되는 '인플레이션'에 대해 이야기해 봤습니다. 오늘은 그 반대 개념인 '디플레이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경제 위기의 시작이라는 단어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디플레이션란?
디플레이션은 일반적인 물가 수준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데 더 적은 돈을 지불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돈의 가치가 상승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소비를 미루는 경향이 생겨, 경제 활동이 둔화되는 현상입니다.
디플레이션의 원인, '세 가지 총알'
인플레이션과 똑같이 디플레이션도 원인을 총알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경제라는 보이지 않는 생명체를 병들고 죽게 만들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는 3가지 요인이 있습니다.
1. 수요의 감소는 경제 침체나 소비자의 구매력 감소로 인해 발생합니다. 여름에는 겨울 패딩을 사지 않고 겨울에는 냉면 혹은 에어컨 수요의 감소 등을 생각하면 됩니다.
2. 공급의 증가는 기술 발전이나 생산 효율성 향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전기차를 생각하면 됩니다. 처음 배터리 기술력의 문제로 고가의 전기 자동차가 출시했지만 점점 저렴한 가격의 전기차가 출시되기 때문에 고객들이 점점 더 저렴한 자동차가 출시가 되기를 기다리면서 구매를 안 하는 현상을 생각하면 됩니다.
3. 기대 디플레이션은 사람들이 미래에 가격이 하락할 것을 예상하고 소비를 지연하는 현상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스마트폰을 구매할 때, 시간이 지나서 보조금의 상향이 없어지면 더 많은 보조금을 받고 구매하려고 하는 겁니다.
디플레이션의 '역사적 사례와 효과'
디플레이션도 인플레이션처럼 다양한 영향을 미칩니다. 하지만 디플레이션은 흔히 경제 침체의 신호로 간주되기도 합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동일한 양의 돈으로 이전보다 더 많은 상품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기업의 매출 감소로 이어지며, 이는 고용 축소와 같은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디플레이션의 역사적 사례를 몇 가지 알려드리겠습니다.
"대공황의 얼어붙은 풍경" (1929 - 1933): 과거로 돌아가 미국의 대공황 시대를 살펴보면, 상상을 초월하는 디플레이션의 얼음 세계를 볼 수 있습니다. 이 시기의 미국 경제는 마치 얼어붙은 호수처럼 금융 시스템의 붕괴, 높은 실업률, 그리고 대규모 생산량 감소로 인해 진정한 디플레이션의 냉기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은 거의 바닥을 치면서, 전 세계를 향해 디플레이션의 위험성을 고함쳤습니다.
"잃어버린 30년, 일본의 잠든 용" (1990 - 202~): 옛 시간에는 세계 경제 순위 2위의 국가였던 일본은 현재에는 '잃어버린 20년'울 넘어 '잃어버린 30년'이라고 표현되고 있습니다. 잠자는 용이 잠에서 깨어나지 못한 채 시간이 멈춘 듯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경제 성장의 발판이 무너져버린 이 기간 동안, 일본은 고요한 디플레이션의 바다로 빠져들었습니다. 수요 부족, 고령화 인구, 높은 저축률 등이 잠자는 용을 더욱 깊게 잠재워, 성장의 희망을 보이지 못했습니다. 2023년 현재까지도 해결되지 않는 상태입니다.
"2008년 금융위기의 파도" 이후: 그 후 2008년 금융위기 이후로 떠오른 빙산은, 몇몇 국가들이 디플레이션의 바다로 빠져들게 만들었습니다. 높은 실업률의 파도와 소비자 신뢰도의 무너짐이 수요를 떨어뜨렸고, 이는 가격의 빙산을 녹여 하락시켰습니다.
각 사례를 보면 디플레이션은 경제 활동의 침체, 금융 시스템의 불안정, 높은 실업률 등으로 인해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줄어드는 현상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디플레이션은 기업의 수익 감소, 실업률 증가 등과 같은 얼어붙은 물결을 던져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디플레이션 속에서의 '서바이벌 가이드'
디플레이션 기간에 적절한 대처법을 알고 있다면, 우리는 경제적으로 성공할 수 있습니다. 디플레이션 기간에는 가격이 계속 하락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것을 지연하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보장하는 투자를 선호할 수 있습니다.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보장하는 투자 란, 주로 자본의 원금을 보존하면서 일정한 수익을 제공하는 투자를 말합니다.
1. 국채: 국가가 발행하는 채권으로, 이자를 지급하는 동시에 만기일에 원금을 돌려주는 형태입니다. 이는 정부가 보증하므로 안정적인 투자로 간주됩니다.
2. 고정 수익 증권: 회사 채, 지방채 등과 같은 고정 수익 증권은 투자자에게 규정된 이자를 지급하고, 만기일에 원금을 돌려줍니다.
3. 배당 주식: 일부 기업은 주식을 소유한 투자자들에게 꾸준히 배당금을 지급합니다. 이는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며, 소득을 생성하는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4. 부동산: 임대 수익을 생성하는 부동산 투자는 또한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임대료가 꾸준히 지급되므로, 투자자에게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합니다.
결론
디플레이션은 우리의 경제 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현상입니다. 이 현상을 이해하고 올바르게 대처함으로써, 우리는 경제적인 안정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 디플레이션의 장점은 소비자에게 이점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가격이 하락함에 따라, 같은 양의 돈으로 더 많은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소비자의 구매력이 증가하고, 생활비용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고정 수입을 가진 사람들에게 큰 이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항상 경제적 상황을 주시하고 적절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연계 포스팅 인플레이션의 뜻 정의 이해 예시 등을 알고 싶으신 분들은 밑에 주소를 클릭해서 확인해 주세요.
[일반 경제 상식] 인플레이션(Inflatoin) - 뜻 정의 이해 분석까지
방구석지식 - 오늘은 우리 일상 속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경제의 법칙 중 하나인 '인플레이션'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코로나 시대 이후 지금의 고금리 시대의 원인이기도 합니다. 인플레
room-ssansi.tistory.com
'방구석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 경제 상식] 버블 경제 with 인공지능 - 뜻, 분석, 예시까지 (0) | 2023.06.26 |
---|---|
[경제 일반 상식]규모의 경제 - 뜻, 정의, 분석, 예시까지 (0) | 2023.06.24 |
[일반 경제 상식] 인플레이션(Inflatoin) - 뜻 정의 이해 분석까지 (0) | 2023.06.22 |
[일반 경제 상식] IPO - 기업이 전국구에서 세계화까지 성장하는 방법 (0) | 2023.06.19 |
카카오 뱅크 저금통 신청하는 방법 - 티끝 모아 부자 되자 통장에서부터 동전모으기 (0) | 2021.01.15 |